1. 존스는 한국인의 종교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그는 한국 샤머니즘을 어떻게 이해하였나? 그 핵심은 무엇이고 누가 주도하고 있다고 보는가? 또 그가 한국인이 종교적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의 이론적인 기본 관점은 무엇인가?
존스는 한국인이 매우 종교적인 민족이라 주장하였다. 종교적 개념이나 전통적 종교문화가 쇠퇴하고 있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종교가 없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나 실상을 보면 한국인은 유교, 불교, 샤머니즘 등의 종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한국의 민간신앙 전반을 샤머니즘이라 부르면서 이를 무속과 도일시하고 있다. 샤머니즘은 한국의 가장 오래되고 주된 종교로 다루어진다. 샤머니즘의 핵심은 정령숭배와 주물숭배이며, 판수와 무당이 이를 주도하고 있다고 서술되어 있다.
존스가 한국인이 종교적이라고 주장하는 데에는 몇 가지 근거가 있다. 첫째, 자신보다 우월한 초월적 존재에 대한 의존감, 둘째, 인간과 신적 존재의 상호교통, 셋째 고통으로부터 영혼을 해방시키려는 노력이다.
존스는 기본적으로 진화론적 입장에 서 있었다. 한국에 종교가 존재하는 당위적 이유로서 진화론적 입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2. 존스는 한국종교의 중층다원성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가? 또 존스가 은진미륵과 최치원을 연구한 의의는?
존스는 한국종교의 중층다원성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인에게는 유교, 불교, 샤머니즘이 공존하고 있으며 서로 간에 중첩되고 연관되어 있다는 점 또한 강조되고 있다. 유교는 타종교와의 혼합을 의식적으로 거부하지만, 불교는 윤리적 측면에서는 유교를 받아들이고, 샤머니즘 또한 흡수하고 있다. 샤머니즘은 유교와 불교의 초월적 대상들을 특정한 원리 없이 수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인은 세 종교를 구분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셋 모두를 믿고 있다는 것이다.
존스가 은진미륵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 불교와 한국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본보기를 제시한 것이었다. 최치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는 최치원을 이질적인 유교를 고유화한 인물로 파악하면서 중국 유교와는 다른 한국 유교의 특징을 논하려고 하였다.
'종교학 잡담 > 한국종교연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더우드와 게일의 연구 (0) | 2014.11.28 |
---|---|
헐버트의 연구 (0) | 2014.11.28 |
달레 신부와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 (0) | 2014.11.28 |
모리스 꾸랑과 러시아 한국지의 한국종교 이해 (0) | 2014.11.28 |
초기 여행자들의 한국종교관 (0) | 201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