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학 잡담/한국종교연구사

초기 여행자들의 한국종교관

1. 하멜 표류기에서는 한국의 종교에 대하여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또 그 기술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 하멜은 한국인은 종교를 거의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는 지위가 높은 엘리트 계층일수록 더욱 그렇다고 보았다. 대신 일반인들은 미신을 가지고 있으며 우상에 빠져 있다고 보았다. 또한 신앙에 대한 논쟁이나 토론이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승려와 사찰에 대해서는 주목하고 있으나 노예나 다름없는 처지에서 많은 세금을 내고 있다는 사실을 기술하고 있다. 하멜의 기록은 서양인 관찰자의 입장에서 한국 종교에 대해 기록한 최초의 자료이지만 주로 피상적인 관찰로 이루어져 있다.

 

2. 오페르트의 조선기행에서 한국인의 종교에 대한 그의 견해는 무엇인가? 또 당시 한국 기독교인을 어떻게 평하고 있는가

- 오페르트는 한국인이 종교적인 의식과 관행을 무시한다고 보고 있다.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사원이나 사찰이 발달하지 않았고, 서낭목이나 장승이 방치되어 있는 정도라는 것이다. 조선이 나름의 경건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종교의식이 외면 받게 된 것은 종교지도자인 승려들의 도덕성이 타락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한편 일단 기독교인이 된 사람은 순수하고 진실된 신앙심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3. 로웰, 길모어, 록힐은 당시 한국인의 종교의식을 어떻게들 각각 보고 있는가

- 로웰은 한국에서 종교가 사라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대신 한국인의 종교는 원시적인 악령숭배로 규정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왕조의 교체로 인해 불교가 패배해 산 속으로 밀려난 점, 자연현상에 대한 두려움과 절망 속에서 악령 숭배가 성행한 점 등을 들고 있다. 길모어는 중국과 일본에서와 달리 한국에서는 종교가 습관적인 형식에 머무르고 있으며 유교와 불교는 쇠퇴해 귀신에 대한 신앙인 미신이 성행한다고 보았다. 록힐은 한국인에게는 종교적 감정이 약하다고 보면서, 영혼신앙과 같은 미신이 성행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4. 그리피스는 한국 유교와 민간신앙 및 조상숭배를 각각 어떻게 생각했는가. 또 중국종교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보았는가.

- 민간신앙에 대해서는 당시 조선인들이 자연의 보이지 않는 힘과 여러 동물들에게 경배하고 있다는 점을 소개한다. 또한 조상 숭배에 대해서는 중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면서 효와 조상숭배가 기독교 선교에 큰 장애가 된다고 보았다. 유교는 한반도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자리잡았다고 보았다. 결국 조선은 유교를 비롯한 중국종교의 연장에 불과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5. 비숍부인의 여행기에서 한국인의 신앙에 대한 기본 논조는 무엇인가. 한국인의 중심신앙은 무엇이라 하고 있는가. 또 이 신앙은 중국이나 북아시아의 샤머니즘과는 어떤 관계에 있다고 보는가? 그녀가 무당과 판수를 구분하고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녀가 참고하고 있는 기존의 연구는 주로 누구의 것들인가. 또 한국인은 죽어서 어떻게 영혼화 된다고 하는가.

- 비숍은 한국인들의 중심 신앙을 귀신신앙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 귀신신앙은 불교에 의해 부드럽게 변형되어 북아시아의 샤머니즘과는 다른 특수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판수는 귀신을 지배하지만 무당은 귀신을 달랜다는 기능정 구분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주장은 존스와 랜디스 등의 연구에 의지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인은 죽어서 위패, 묘지, 그리고 보이지 않는 곳의 세 형태로 영혼화된다고 서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