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910년대 서양인들이 한국 불교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고돈부인의 한국불교에 대한 독특한 주장들은? 트롤로프의 한국불교 연구의 특징은?
- 이 시기 한국 불교에 관심을 가졌던 서양인들은 당시 한국 불교에 대한 독특한 이해를 통해 당시 서구에 확장되고 있었던 동양 문화 연구에 참여하려고 하였다.
고돈부인은 한국불교에 대한 인상을 바탕으로 몇 가지 독특한 주장을 하기도 했다. 신라의 묵호자에 대해서는 흑인이고, 네스토리우스파 사제일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미륵을 메시아와 동일시하기도 하고, 부동명왕의 검이 십자가와 닮았다는 점에서 불국사를 네스토리우스파 전래의 증거로 내세우기도 했다.
한편 성공회 사제인 트롤로프는 한국불교의 사찰 구성과 전반적인 교의에 대해 원론적이고 일반적인 서술을 하는 한편, 칠성, 산신 등 민간신앙적 요소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2. 스타의 『한국불교』가 지닌 학사적 의의는? 그가 참고한 중심자료들과 문제점들은? 또 러퍼스의 석굴암에 대한 주장은 무엇인가?
-스타는 선교사들을 비롯한 다른 서양인들과는 달리 불교의 쇠퇴보다는 한국 불교의 생동감을 강조하면서 학승 증가, 불교서적 출판 등을 근거로 들고 있다. 그는 역사자료, 사찰 기록과 비문들, 일본학자들과 이능화, 헐버트 등의 자료를 참조하였다. 그러나 불교사 서술에 있어서는 피상적이고 오류가 많은데, 특히 묵호자가 흑인이었다고 하면서 사람들이 흑인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을까 의아해 하는 부분이 그렇다.
한편 러퍼스는 석굴암의 구조가 인도의 미술과 닮았다는 점, 관음상에서 간다라 미술의 영향이 보인다는 점, 기독교적 상징이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것이 조로아스터교, 불교, 영지주의, 기독교 요소가 아우러진 마니교의 영향이라고 파악하였다. 그 외에도 5개의 상, 10개의 벽감, 여성 도상 등을 마니교의 상징이라 주장하면서 이것이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과 한국에 온 묵호자의 설계일 것이라고 보았다.
'종교학 잡담 > 한국종교연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데무라 겐지(秀村研二)와 니와 이즈미(丹羽 泉)의 한국종교 연구 (3) | 2016.05.24 |
---|---|
찰스 A. 클라크의 연구 (0) | 2014.11.28 |
언더우드와 게일의 연구 (0) | 2014.11.28 |
헐버트의 연구 (0) | 2014.11.28 |
조지 허버 존스의 연구 (0) | 201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