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일본종교학회 "종교현상학의 가능성" 발제문들 번역.
역사적 구조론으로서의 종교현상학 카나이 신지(金井新二) 종교현상학에의 여러 비판으로부터, 특히 정적 비역사적이라고 하는 비판에 대해서(레우, 엘리아데 등). 동적 역사적 종교현상학으로의 걸음에 대해서는, 엔테레게이아론(블레이커), 지향성 분석(바덴부르그), 종교사적 테마에 대해서의 현상학(크림카이트) 등이 있었다. 1. 막스 베버로부터의 시사 합리화프로세스로서의 종교사. 이것은, 이념형에 의한 기술, 유형론의 역사화로서의 ‘유형사적’ 방법이다. 그에 의하면, 여러 역사기술은 관점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서, 주관적 구성물이다. 예를 들면, 합리화 프로세스로서의 역사(베버)는, 계몽주의적 합리주의의 관점이고, 유물사관에 의한 역사는 마르크시즘적 계급투쟁의 관점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어느 쪽이든 공통된 것은,..
더보기